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ython AI 컴파일러 방식 VS 인터프리터 방식

IT

by ad-humanity 2023. 8. 3. 22:53

본문

728x90
반응형

컴파일러 방식과 인터프리터 방식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기본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 두 방식은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행하는지에 대한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컴파일러 방식과 인터프리터 방식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변환 단계



컴파일러 방식: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번역 단계를 컴파일링이라고 합니다.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 전체를 분석하고 기계어로 변환한 후, 기계어 코드를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로 생성합니다. 이후에는 생성된 바이너리 파일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인터프리터 방식: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서 해당 코드를 즉시 실행합니다. 즉, 소스 코드가 실행될 때마다 인터프리터가 해당 코드를 읽고 해석하여 바로 실행합니다. 인터프리터는 컴파일 단계 없이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실행 속도


컴파일러 방식: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 전체를 한 번에 기계어로 번역하므로, 번역된 프로그램은 실행 속도가 빠릅니다. 실행 시간에는 추가적인 번역이 필요 없으므로 효율적입니다.

인터프리터 방식: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고 실행하기 때문에, 실행 시간에 매번 해석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디버깅

 

컴파일러 방식: 컴파일러 방식은 소스 코드를 전체적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디버깅 시에는 오류가 발생한 부분의 위치를 찾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디버깅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디버그 정보를 포함한 컴파일을 수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프리터 방식: 인터프리터 방식은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하므로, 디버깅이 비교적 쉽고 빠릅니다.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으며, 코드를 수정한 후 바로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종속성


컴파일러 방식: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에 맞는 바이너리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로 인해 특정 플랫폼에서만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인터프리터 방식: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환경에 맞춰서 바로 해석하여 실행하므로, 플랫폼에 대한 종속성이 줄어들어 이식성이 높아집니다.

둘의 선택은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목적, 실행 성능, 디버깅 요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언어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을 채택하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